구룡산 거쳐 대모산까지

|

(2013년 1월 12일 내곡동 구룡산에서 대모산까지) 

 

 

 

친구와 신분당선 양재시민의 숲역에서 10시에 만나기로 약속했다.

위 사진은 신분당선 플랫폼 벽에 설치되어 있는 벽시계다.

보다시피 9시 50분이 되지 않아 도착했는데 친구녀석은 거의 1시간이 지나서야 모습을 드러냈다.

그것도 아이젠을 사오라고 그리 말하였건만 빈손으로...

역시 산은 혼자 다니는게 속편하다. 으이그 웬수~~

 

친구가 금요일 밤 한밤중에 나보고 내일 어디에 갈거냐는 카톡메시지가 왔지만

나는 보지 못하고 잠이든 관계로 아침에 일어나서야 카톡을 보고 내 계획을 얘기했더니 합류하겠다고 했다.

 

전부터 계획 해 놓은 코스가 있었는데 마침 잘 되었다 싶었다.

원래 계획은 양재시민의숲 역에서 구룡산에 오른 후 능선을 따라 대모산까지 종주를 하고

헌릉IC로 내려와 다시 인릉산에 올라 청계산입구역보다 남쪽에 있는 넘말골로 하산하려고 했었다.

하지만 시간이 너무 지체되었고 인릉산에 오르는 길을 발견하지 못해 헌릉IC에서 오늘의 산행을 마무리하였다.

겨울에는 2시가 넘으면 아무리 낮은 산이라도 산에 오르기가 겁이 나기도 했다.

 

 

       

 

생각보다 거리도 길었고 시간도 3시간 가까이 걸렸다.

낮은 산이라지만 300m짜리 산을 오르고 100m 이상 내려 온 후

다시 100m 이상을 오르는 코스라서 마냥 쉽다고만 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난이도가 높다고 할 수도 없지만...

 

 

 

구룡산을 오르는 입구를 찾기가 어려웠다.

이번에도 네이버지도에 표기되어 있는 등산로 입구는 없었다.

네이버 잘 좀 만들자! 응!

 

지나가는 동네 어른께 물어물어 겨우겨우 등산로에 진입했다.

 

 

 

원래는 저 학술진흥원에서 등산로가 시작되나 본데

우리는 저 진입로를 찾지 못해 "초원조경" 옆길로 진입했다.

물론 거기에는 등산로 표지판도 없었다.

사진에 있는 학술진흥원은 한국연구재단을 가르키는 것 같다.

진입로를 찾으려고 한국연구재단 건물 근처를 잘 살펴 보았지만 진입로가 없던데 이상하다... 

 

 

 

아무튼 산불감시초소로 걸음을 옮기기 시작했다.

오늘은 근래 들어 보기 드물게 영상의 기온을 보였다.

가파르진 않지만 오르막길이 계속 펼쳐져 오르다 보니 더워 땀이 맺혔다.

땀을 닦으며 산에 오르기는 오랫만이다.

 

 

 

생각보다는 상당히 많은 등산객들이 산에 오르고 있었다.

토요일 인데다 오랫만에 날씨가 풀려서 다들 집을 박차고 나왔나 보다.

 

 

 

산불 감시초소다.

말그대로 초소가 덩그러니 놓여 있다.

 

 

 

아직 구룡산 정상에 도달하지도 않았는데 대모산 정상이 1.8km 남았다고 표지판을 달아 놓았다.

물론 구룡산 정상은 이 표지판에서 3분 정도 걸리는 곳에 있기는 하다.

 

 

 

고도가 낮은 등산로에는 등산로 곳곳에 잔설이 조금 남아 있는 수준이었지만

정상 가까이 오니 눈이 내린 그대로 남아 있어 미끄러웠다.

비록 300m급 산이지만 산 밑과 정상은 온도차이가 많이 나나 보다.

 

 

 

구룡산 정상이다.

"돈 많은 서초구 지자체 뭐하나. 기념사진 찍을만한 표지석이라도 하나 세워 놓지" 하는 타박을 해 본다.

전망대는 갖춰져 있지만 뿌연 스모그 때문에 주위 경관을 둘러 보았자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았다.

 

여기서부터 하산하는데 아이젠을 끼지 않으면 미끄러워서 도저히 내려 갈 수가 없었다.

친구녀석이 아이젠을 가져 오지 않은 관계로 한쪽 발씩만 나눠 끼고 내려갔다.

덕분에 몇번이나 넘어질뻔 했는지 모르겠다.

역시 겨울산에는 아이젠이 필수다.

 

 

 

구룡산 정상에서 한참을 내려 오다가 다시 대모산 정상을 향해 오르막이 시작되고 있다.

 

 

 

여기가 대모산 정상이다.

역시 표지석은 없다.

정상에 왔지만 좀 뻘쭘하다.

주위 경관도 잘 보이지 않고 기념할만한 표식도 없어서 좀 맹숭맹숭하다.

 

 

 

대모산을 내려오니 1시 45분이 지나가고 있었다.

여기서부터 인능산을 오르는 길을

네이버 지도를 보며 찾았으나 결국은 실패했다.

 

 

 

아직 점심을 먹지 못해 먹을 곳을 찾다가 오른쪽 가운에 보이는 정자에 올라

사발면과 사과 몇쪽을 나눠 먹는 걸로 대신했다.

왼쪽의 아파트는 LH 보금자리 주택이다.

 

점심을 먹은 후 계속 등산 진입로를 찾아 볼까 하다 시간이 너무 지체되었기에

포기하고 집으로 향했다.

이렇게 해서 오늘의 산행은 예상보다 빠른 시간에 마무리되었다.

'돌아 댕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용산, 형제봉 등산  (6) 2013.01.28
정동진, 금진항 나들이  (6) 2013.01.21
대부도 해솔길  (4) 2013.01.17
계사년을 열며 검단산에 오르다  (0) 2013.01.10
태안 해변길5코스(노을길) 걷기  (0) 2013.01.03
And